건너뛰기 메뉴


매립장 운영현황


매립장 운영현황

매립현황
매립현황 - 구분, 면적, 매립용량, 누적 매립량(㎥) 2024. 12월 기준 , 매립연한(설계), 매립연한(예상)
구 분 면 적 매 립
용 량
누적 매립량(㎥)
<2024. 12월 기준>
매립
연한
(설계)
매립
연한
(예상)
113,500㎡ 1,414,275㎥ 39년 총 59년
1차부지 34,830㎡ 206,600㎥ 2021년 2022년 2023년 2024년 6년
(~2016)
26년
(~2037)
56,872 62,012 66,941 71,843
2차부지 24,220㎡ 324,625㎥ - 10년
(~2027)
10년
(~2047)
3차부지 54,450㎡ 883,050㎥ - 23년
(~2050)
23년
(~2070)
연도별 폐기물 반입량

(단위 : 톤)

연도별 폐기물 반입량 - 구분, 연간누계, 1월~12월
구 분 연간 1월 2월 3월 4월 5월 6월 7월 8월 9월 10월 11월 12월
증감
(전년대비)
- 156 18 △80 45 52 △101 78 △49 74 27 △392 32
‘24 5,128
(188)
666
(61)
543
(32)
416
(34)
448
(9)
391
(3)
204
(1)
410 489 467 388
(5)
241 465
(43)
‘23 5,268
(108)
510
(14)
525
(27)
496
(21)
403
(6)
339 305 332 538 393 361 633 433
(37)
‘22 5,593
(93)
496
(26)
478
(25)
566
(18)
439
(8)
527
(1)
449 590 385 534 337 284 508
(15)
‘21 5,393
(144)
533
(28)
511
(36)
463
(31)
418
(13)
447
(11)
405
(24)
503
(3)
525 399 341 354 497
(24)

( ) : 연탄재

연도별 침출수 발생 및 처리량

(단위 : ㎥)

연도별 침출수 발생 및 처리량 - 구분, 연간누계, 1월~12월
구 분 연간 1월 2월 3월 4월 5월 6월 7월 8월 9월 10월 11월 12월
증감
(전년대비)
- △403 680 352 △713 12 △3,208 830 △2,161 △52 464 △1216 △756
‘24 13,606 480 875 531 152 1,912 1,086 8,570 2,274 1,883 1,238 345 284
‘23 25,771 883 195 179 865 1,900 4,294 7,740 4,435 1,935 774 1,561 1,040
‘22 33,837 137 261 1,161 1,056 218 2,915 8,405 9,620 5,626 2,825 1,078 535
‘21 13,380 114 100 557 1,262 1,845 1,040 1,123 1,643 2,348 2,293 436 619
침출수 수질측정 결과

(단위 : mg/L)

침출수 수질측정 결과 - 구분, 수소이온농도,화학적산소요구량(중크롬산칼륨법),생물학적산소요구량,부유물질량,색도(도),암모니아성질소,무기성질소,총인,,트리클로로에틸렌,테트라클로로 에틸렌,PCB함유량,비고
구분 수소이온
농도
화학적
산소요구량
(중크롬산칼륨법)
생물학적
산소요구량
부유물질량 색도(도) 총질소/th> 총인 총대장균군수 DEHP 셀레늄
기 준
(가지역)
5.8 - 8.0 800이하 70이하 70이하 300이하 60이하 8이하 3,000이하
‘24. 1월 6.9 50.0 1.8 0.2 9 10.605 0.094 0 0 0
‘24. 2월 6.7 33.3 1.0 0.8 10 10.770 0.101 0 0 0
‘24. 3월 7.3 41.4 1.5 0.4 12 7.922 0.114 0 0 0
‘24. 4월 6.4 37.3 1.2 0.4 12 9.349 0.099 0 0 0
‘24. 5월 7.1 25.0 1.3 2.4 5 6.394 0.049 0 0 0
‘24. 6월 6.5 36.5 1.2 6.0 10 11.322 0.106 0 0 0
‘24. 7월 5.8 12.0 1.1 0.4 2.323 2.323 0.036 0 0 0
‘24. 8월 6.7 10.0 8.6 4.0 11 2.905 0.073 0 0 0
‘24. 9월 6.3 18.0 1.6 1.6 4 4.408 0.038 0 0 0
‘24. 10월 6.7 26.0 2.3 0.2 11 8.529 0.089 0 0 0
‘24. 11월 6.6 65.0 2.7 2.4 16 13.174 0.158 0 0 0
‘24. 12월 6.5 27.0 1.6 2.4 10 8.616 0.075 0 0 0
측 정
결 과
“가”지역 수질기준 이하 유지: 진건하수처리장과 연계하여 방류(하수관로 연계)
트리클로로에틸렌, 테트라클로로에틸렌, PCB함유량은 불검출
※수질오염 지표: 값이 클수록 오염도가 높음
○ 생물화학적 산소요구량(BOD): 미생물이 물 속의 유기물을 분해할 때 쓰는 산소의 양
○ 부유물질(SS): 유기물과 무기물을 함유하는 고형물질로 크기가 0.1㎛ 이상인 입자상 물질
○ 총질소(T-N): 물 속에 포함된 질소화합물의 총량(유기성 질소, 암모니아성 질소 등)
○ 총인(T-P): 물 속에 포함된 인화합물의 총량

※ "가"지역 수질기준: 「폐기물관리법」 시행규칙 제42조 1항(폐기물처리시설의 관리기준) [별표11]
- 수질오염물질의 배출허용기준 (물환경보전법 제34조 관련) -
2) 가지역: 수질 및 수생태계 환경기준 좋음(Ⅰb), 약간 좋음(Ⅱ)등급 정도의 수질을 보전하여야 한다고 인정되는
수역의 수질에 영향을 미치는 지역으로서 환경부장관이 정하여 고시하는 지역